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장편소설 ‘바람벽’을 집필하며

때(時)는 오고 간다. 애타게 그리워해도 지워진 사랑이 돌아오지 않는 것처럼 마음 떠난 사람은 뒤돌아보지 않는다. 때(時)는 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이다.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기회나 알맞은 시기를 말한다.     베스비오 화산의 대폭발로 멸망한 폼페이에는 화산재가 덮칠 당시 그 모습 그대로, 살아있는 듯 죽은 사람들이 엉겨 붙어 있다. 연인들은 서로 껴안고 생의 마지막 순간을 마주하고, 만삭의 어머니는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바닥에 배를 깔고 웅크리고 있다. 너무 생생해서 금방이라도 화산재를 뚫고 걸어나올 것 같다.     참고 기다리면 때(Time)가 온다. 썰물처럼 떠내려 간 생의 편린들이 무채색의 바다를 거슬러 밀물처럼 몰려온다. 바다는 원래 푸른 빛이었을까? 자음과 모음이 엉겨 붙은 파도는 저녁 노을에 활화산처럼 타오른다.     마지막은 찬연하다. 사는 것과 죽는 것은 순간의 불꽃놀이다. 성냥개비나 불쏘시개로 사라진다 해도, 스러지고 다시 일어나, 길 위에서 길이 되는 사람들의 언어를 진솔하게 적고 싶었다.     오래 전 자전소설 두 권과 자전에세이를 출간했다. 자전소설 ‘찔레꽃’은 소설의 형식을 갖추지 못해 서술에 가깝다. 자전에세이 ‘여왕이 아니면 집시처럼’은 이기희 삶을 그린 투영도(投影圖)다.   장편소설 두 권을 정말 쓰고 싶었다. 절망의 늪에서 희망의 불꽃으로 타오르고, 나락으로 꼬꾸라져도 목숨줄 놓지 않는 사람들의 싱싱한 언어를 담고 싶었다.   20년 가까이 한 주도 빠짐없이 미주중앙일보에 칼럼을 썼다. 사업하며 아이들 키우면서 밤잠 설치며 글쓰기 연습을 했다. 마감 시간 안 놓치려고 수술 받은 날은 가슴을 동여매고 글을 쓰고 어머니 장례식 날은 눈물로 자판기를 두드렸다.     인생의 반을 지나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쓰고 싶은 이야기는 차고 넘친다.   문제는 구성 즉 플롯이다. E.M 포스트는 ‘소설의 이론’에서 플롯은 사건들 간의 필연적 연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스토리와 구분된다고 설명한다.     무식은 실력 부족으로 유식을 이기지 못한다. 소설다운 소설을 한 편도 쓴 경험이 없어 맨 땅에 헤딩하다 지렁이 잡는 실수를 범하게 될까 두렵다.   작가는 실제 있는 것들을 쓰지 않는다. 입히고 꾸미고 각색하고 분탕질하며 창작의 꽃을 피운다. 백마 탄 왕자와 결혼해 무명시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시나리오는 유명 영화감독 신춘문예 당선작의 소재로 비난의 대상이 됐다. 베스트셀러 소설가 작품들 속에도 사랑을 버린 여자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텃밭에 뿌린 씨는 싹이 트면 푸릇푸릇 잎이 돋아난다. 이방인으로 남의 땅을 떠돌아도 그리움이 얼룩진 씨앗 한 톨 땅 속 깊이 묻으면 수만 수천개로 번져나간다. 디아스포라는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을 의미한다. 의학적으로 파종은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것으로 족보에서 종통이 바뀌는 것을 말한다.     꿈 속에서 ‘바람벽(Wind wall)’이 소설 제목으로 떠올랐다. 바람벽은 집의 둘레나 방의 칸막이를 위해 흙을 발라 만든 벽이다. 진흙을 뭉개 바른 벽이라도 얼어붙은 몸 녹일, 따스한 구들목이 있는 땅을 찿아 얼마나 헤매였던가.     바람은 동에서 서로 서쪽에서 다시 동쪽으로 분다. 그대와 나,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허물 수 없다 해도, 바람은 수시로 가슴을 뚫고 지나간다.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장편소설 바람벽 베스트셀러 소설가 소설 제목 어머니 장례식

2024-06-04

[기고] 자유와 평화를 위한 갈망

 소설가 존 스타인벡의 ‘달이 지다(The Moon is Down)’는 노르웨이의 한 바닷가 마을을 배경으로 쓴 단편소설이다.  1942년 발표됐다.   이 소설은 전쟁의 잔인함, 부조리, 그리고 자유와 평화를 얻기 위한 끊임없는 투쟁을 그리고 있다. 특히 요즘 러시아의 무차별 공습과 우크라이나의 가슴 아픈 소식이 시시각각 전해지는 전황과 관련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소설이다.     이 소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노르웨이의 한 어촌 마을에서 벌어졌던 실화가 배경이다. 이야기 속에서 마을을 지키던 군인 12명이 침략군의 기습에 의해 3명만 생존하게 된다. 나머지는 전사하거나 부상을 입었고 마을은 점령 당한다.   소설에서는 전쟁이 주는 참혹함은 물론 전쟁에 참여한 군인들의 적나라한 심리상태가 묘사돼 있다. 또한 전쟁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갑작스럽게 고통과 배고픔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평범한 마을 사람들의 아픔도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     우리가 느끼는 일상의 평화와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먹고, 입고, 편하게 자는 인간의 기본적 욕망 충족이 얼마나 귀중한지 스타인벡은 이 소설을 통해 사실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어떤 이유로든 전쟁은 결코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제목 ‘The Moon Is Down’에 호기심이 일었다. 스타인벡은 왜 제목을 이렇게 붙였을까. 소설에서 달이 언급되는 부분은 딱 한번이었다.   고즈넉한 저녁이 되면 평화로운 달빛 아래 평화와 자유를 마음껏 누리고 살아가던 노르웨이의 한적한 조그만 마을이 삽시간에 모든 평화와 자유를 빼앗겼다. 마을은 점점 혼돈과 억압의 세상 속으로 빠져들어 갔다.     이런 암울하고 어두운 이야기가 전개되는 배경의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소설 제목을 ‘떨어지는(사그라지는) 달’로 묘사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최근 들어 존 스타인벡의 이 소설이 여러 나라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서 다시금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것이다. 자유와 평화를 갈망하는 사람들에게 그 가치를 일깨워주고 있다.     지난 1일 칼럼니스트 찰스 에델이 워싱턴포스트에 “저항하는 젤렌스키 우크라나이 대통령의 리더십은 민주주의를 보여주는 증거”라는 글을 썼다. 이를 통해 공동체(마을·도시·국가)가 어렵고 힘든 상황에 처해 있을 때 공동체 구성원의 지지를 전폭적으로 받는 훌륭한 지도자의 역할이 난국을 성공적으로 타개하는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잘 설명했다.     자유와 평화는 결코 공짜가 아니다. 최영배 / 리젠트대학 공학·전산학과 교수기고 자유 평화 바닷가 마을 어촌 마을 소설 제목

2022-03-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